top of page

우리는 아래와 같이 4가지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생체 하이브리드 소재를 이용한 고민감도 필터시스템, 2) AI를 활용한 스마트폰/바이오진단 기술, 3)COVID-19등의 감염병 및 현장진단 기술, 4) 마이크로/나노기술 이용한 혁신 센싱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bio-hybrid materials

바이오-하이브리드 소재를 이용하여, 고효율로 생체분자의 선택적인 분리/농축이 가능한 소재/소자/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등의 현장진단에 있어서 PCR수준의 감도를 제공하는 스마트한 고감도 필터기술 연구 및 나노유체 기술을 이용한  nanoelectrokinetic pre-amplifying 기술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AI-assisted diagnostics

AI 기술을 활용하여, 진단의 기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외부의 기기나 장치 없이 스마트폰 혹은 영상 분석만으로 현장에서 진단하는 기술입니다. 현재 외부 크래들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조명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문가 수준보다 훨씬 높은 정확도로 코로나 진단 결과를 알려줄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향후 바이오진단과 관련된 딥러닝/머신러닝/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헬스케어분야에 큰 이정표를 세우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POCT &
​precision medicine

고감도의 신뢰성있는 빠른진단 기술은 매우 중요합니다. AI 기술과의 접목, 하드웨어 자체의 발전, 진단키트의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하는 공학적 접근, 바이오케미스트리 접근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으며, 고민감도 및 정량분석이 가능하도록하는 현장형 진단 기술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밀의료의 구현을 위해 시스템을 개발중에 있으며, 앞서 언급한 소재 및 AI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엑소좀 등의 진단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micro/nano engineering 

몸속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 나노 머신의 이야기처럼, 나노/마이크로 기술을 활용한 엔지니어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외부 FET gate를 활용한 고감도 전기적인센서, 1차원/2차원 마이크로/나노 센서, 그리고 나노/마이크로 기술의 물리적 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반도체 기술을 활용한 나노센서/공정 기술을 연구중에 있습니다. 나노센서의 전기적/광학적신호의 AI 적용 연구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bottom of page